JAVA/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입문

[프로그래머스, LV.0] 컨트롤 제트

sundori 2024. 12. 11. 12:39

목차

    문제 설명

    숫자와 "Z"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담긴 문자열이 주어집니다. 문자열에 있는 숫자를 차례대로 더하려고 합니다. 이 때 "Z"가 나오면 바로 전에 더했던 숫자를 뺀다는 뜻입니다. 숫자와 "Z"로 이루어진 문자열 s가 주어질 때, 머쓱이가 구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


     

    제한사항

    • 1 ≤ s의 길이 ≤ 200
    • -1,000 < s의 원소 중 숫자 < 1,000
    • s는 숫자, "Z", 공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  • s에 있는 숫자와 "Z"는 서로 공백으로 구분됩니다.
    • 연속된 공백은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0을 제외하고는 0으로 시작하는 숫자는 없습니다.
    • s는 "Z"로 시작하지 않습니다.
    • s의 시작과 끝에는 공백이 없습니다.
    • "Z"가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class Solution {
        public int solution(String s) {
            String[] sArr = s.split(" ");
            int sum = 0;
            int lastAdded = 0;
    
            for (String temp : sArr) {
                if (temp.equals("Z")) {
                    sum -= lastAdded; // 바로 이전에 더했던 값을 빼기
    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    int num = Integer.parseInt(temp);
                    sum += num;
                    lastAdded = num; // 마지막으로 더한 값을 저장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    return sum;
        }
    }

    코드 설명

    1. 입력 분리:
      • split(" ")으로 문자열을 공백 기준으로 나눠 배열에 저장.
    2. 반복문:
      • 배열의 각 요소를 순회하며 숫자 또는 "Z"를 처리.
    3. "Z" 처리:
      • "Z"가 등장하면 마지막으로 더했던 값을 sum에서 빼준다.
    4. 숫자 처리:
      •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해 sum에 더하고, 마지막으로 더한 값을 lastAdded에 저장한다.
    5. 결과 반환:
      • 최종적으로 구한 합계를 반환.

    실행 예제

    • 입력: "1 2 Z 3"
      • 과정: 1 + 2 - 2 + 3 = 4
      • 출력: 4
    • 입력: "10 Z 20 Z 1"
      • 과정: 10 - 10 + 20 - 20 + 1 = 1
      • 출력: 1
    • 입력: "1 1 Z Z"
      • 과정: 1 + 1 - 1 - 1 = 0
      • 출력: 0